로그인

베스트미디어

인쇄 스크랩 목록
Dr. 이걸 - 신장 투석 원인 예방을 위한 관리법

페이지 정보

서울베스트의료의원 77 0 2025-03-05 21:22:23

본문

< 신장 투석 원인 예방을 위한 관리법 이렇게 실천 해보세요 >



혹시 주변에서 투석을 받는 분들을 보며 안타까운 마음을 느껴본 적 있으신가요? 

신장(콩팥) 기능이 저하되면 삶의 질이 크게 떨어질 수 있습니다. 



이 기관은 우리 몸에서 노폐물을 걸러내고 체내 수분과 전해질 균형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손상되거나 기능이 떨어지면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되고, 심할 경우 투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신장 건강이 악화되는 원인은 다양하며, 초기 증상이 거의 없어 알아차리기 어렵기 때문에 미리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런 의미로 신장 투석 원인과 이를 예방하기 위한 일상적인 관리법을 상세히 안내드리오니, 

참고하셔서 건강한 신장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1. 콩팥 기능 왜 중요할까요?

2  이상신호, 어떻게 하면 빨리 발견할 수 있을까?

3. 더 신경써야 하는 위험군은?

4. 신장 투석 원인 예방을 위한 관리법은?




82a493c22463bf57b4f92b20d7fd9aec_1741177063_5304.png
 



1. 콩팥 기능의 중요성

우리 몸의 콩팥은 마치 정수기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혈액 속 노폐물을 걸러내 소변으로 배출하고, 체내 필요한 수분과 전해질 균형을 유지하죠.

또한, 혈압조절, 적혈구 생성, 뼈 건강 유지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그렇기에 신장 기능이 저하되면 이러한 기능들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다양한 건강문제와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투석이나 신장 이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평소 신장 건강에 관심을 가지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82a493c22463bf57b4f92b20d7fd9aec_1741177094_6239.png
 



2. 이상 신호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신장병은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어서 자각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요. 그래서 정기적 건강검진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건강하신 분들의 경우 1년에 한 번 아주 간단한 소변검사와 혈액검사만으로 신장 기능을 체크해 볼 수 있는데요.


소변검사를 하면 신증후군, 사구체신염 등의 신장 질환의 초기 신호인 단백뇨나 혈뇨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요.

또한, 혈액검사를 통해 신장 기능을 나타내는 크레아티닌 수치와 사구체여과율(GFR)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현재 나의 건강 상태를 미리 파악하고, 이상이 있다면 조기에 대처할 수 있습니다.




82a493c22463bf57b4f92b20d7fd9aec_1741177113_1418.gif
 


3. 더 신경써야 하는 위험군은?

만성 신장 질환의 위험군에 속하는 분들은 더 주의가 필요합니다.

만성 신부전은 기능이 서서히 저하되어서 체내 노폐물과 수분을 적절하게 배출하지 못하는 상태를 이야기해요. 

관리가 잘 안되면 결국 투석으로 까지 이어질 수 있죠. 



만성 신부전의 원인이 되는 대표적인 질환이 바로 고혈압, 당뇨병이에요. 

혈압이 지속적으로 높으면 신장 내 혈관을 손상시키면서 신장기능 저하를 유발하고요. 




82a493c22463bf57b4f92b20d7fd9aec_1741177126_9438.png
 



높은 혈당 수치는 신장의 여과기능을 손상시켜 단백뇨를 유발하고, 만성신부전의 위험을 높힙니다.

임상에서 투석까지 하게 되는 분들의 약 70프로 정도가 당뇨병, 고혈압의 합병증으로 만성 신부전이 발생한 분이에요. 




82a493c22463bf57b4f92b20d7fd9aec_1741177137_0382.gif
 



그래서 고혈압, 당뇨병이 있는 분들 좀 더 적극적으로 최소 6개월에 한 번씩 혈액검사, 소변 검사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른 심장질환이 있거나, 비만인이거나, 신장질환의 가족력이 있는 분들 역시 좀 더 건강관리에 관심을 가져주셔야 합니다.





82a493c22463bf57b4f92b20d7fd9aec_1741177154_3368.png
 


4.신장 투석 원인 예방을 위한 관리법

일상생활에서 콩팥 건강을 잘 유지하려면 어떤 점을 특히 신경 써야 할까요?

자..이제 신장에 관심이 생긴 분들 이라면.. 몇 가지 꼭 실천하면 좋은 관리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수분을 충분히 섭취하세요.

물을 하루에 1.5~2L 정도 마시면 적절하게 신장 혈류를 유지시키고, 소변을 만들어서 신장이 원활하게 기능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하지만 기능이 이미 많이 저하된 분들은 수분 배출이 어려울 수 있어서 의사와 상담 후 적절한 수분 섭취량을 조절해야 합니다. 



2) 저염식을 실천하세요.

과도한 나트륨 섭취는 혈압을 높이고, 몸에 체액을 증가시켜 몽팥에 부담을 줍니다. 

국물 요리, 가공식품, 인스턴트 음식의 섭취를 줄이고 싱겁게 먹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하겠어요.



3)혈압과 혈당을 철저히 관리하세요.

만성 신부전의 주요 원인이 고혈압과 당뇨라고 했죠. 

평소 혈압 관리, 혈당 관리에도 관심을 가져주세요. 혈압을 130/80 mmHg 이하, 혈당을 정상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불필요한 약물 복용, 건강 식품 섭취를 피하세요.

아플때 손쉽게 사서 먹는 진통소염제(NSAIDs)나 몸에 좋다고 드시는 각종 한약제제, 건강식품들을 장기간 복용하면 오히려 신장 기능을 악화시 킬 수 있습니다. 


꼭 필요할 때만 복용하고, 장기 복용이 필요하다면 의사와 상담 후 신장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5)규칙적인 운동을 하세요.

운동은 신장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건강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 하루 30분 이상 걷기, 가벼운 유산소 운동을 꾸준히 실천하는 것이 신장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그때 물도 꼭 같이 많이 드셔주고요. 


하지만 과유불급! 

운동이 좋다고 탈수 될 정도로 심한 운동을 하거나, 과도하게 근력 운동을 하면, 파괴된 근육의 부산물들이 오히려 콩팥을 고장낼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합니다. 또한, 기능이 저하된 경우 단백질 섭취를 제한해야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신장 투석 원인 예방을 위한 생활습관에 대해 말씀드리는 시간을 가져봤는데요.

설명드린 것처럼 콩팥 건강은 꾸준한 관리와 노력이 필요하며,

평소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고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기능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질환이 의심되는 경우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하여 명확한 진단을 받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 이유 없이 지속되는 피로감

☑ 부종(특히 손, 발, 얼굴 부위)

☑ 소변량 감소 또는 거품뇨

☑ 식욕부진 및 메스꺼움

☑ 가려움증


자신에게 이러한 증상들이 있다면 신장 기능 검사를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고혈압과 당뇨병을 적극적으로 관리하고, 건강한 식습관을 실천하는 것이 신장 기능을 보호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인쇄 스크랩 목록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