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베스트미디어

인쇄 스크랩 목록
Dr. 이걸 - 타이레놀 진통제 그 이상일까요? 우울할 때도 진짜 효과 있을까요?

페이지 정보

서울베스트의료의원 26 0 2025-07-28 19:14:48

본문



Dr. 이걸 - 타이레놀 진통제 그 이상일까요? 우울할 때도 진짜 효과 있을까요?

'기분이 안 좋을 때 타이레놀 한 알 먹으면 낫는다?' 과연 사실일까요?

흔한 오해와 사실, 정리해 봤습니다.

 

목 차

1. 타이레놀 의약품, 아무렇게나 복용해도 될까?

2. 오남용의 위험성과 실제 사례

3. 우울감에도 효과가 있을까?

4. 진통제의 작용 기전

5. 진통제 사용과 주의 사항

 

 

1. 타이레놀 의약품, 아무렇게나 복용해도 될까?

우리가 너무 흔하게 접하는 타이레놀은 일반의약품이에요. , 처방전 없이 약국에서 손쉽게 구입할 수 있다는 거죠.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진통제 중 하나로 두통, 미열, 경증 통증 등에서 확실한 효과를 입증했죠.

그런데 문제는 따로 있습니다.

 

 타이레놀이 안전하고, 기분도 좋아진다더라

라는 과장된 이미지가 사람들 사이에 너무 퍼져 있다는 겁니다.

물론 안전하다는 말 자체는 틀린 표현이 아니지만, 아무 때나, 아무렇게나 복용해도 된다는 뜻은 절대 아닙니다.

최근에 우울할 때도 쉽게 복용한다는 이야기까지 들려오고 있어 오늘은 이 부분에 대해 정확하게 짚고 넘어가려 합니다.

 


2. 오남용의 위험성과 실제 사례

먼저 조금 무서운 이야기부터 해드릴게요. 마냥 안전한 약이 아니에요.

타이레놀을 습관적으로 먹다가 간이 망가지는 경우, 실제로 꽤 많습니다.

특히 간이 안 좋은 분들은 더 위험합니다.

술을 자주 먹는 분들 역시 위험해요.

우울하다고, 스트레스받는다고.. 술도 자주 마시는데 타이레놀까지? 더더욱 위험하겠죠?

예를 들어, 20대 여성 환자가 일주일 동안 하루 6~8알씩 타이레놀을 복용하다가 급성 간부전으로 응급실에 실려 오는 경우가 있고요.

 

 


한 직장인은 머리가 지끈거려 잠이 잘 온다며 매일 밤 타이레놀을 복용했는데 

간수치가 급격히 올라가서 약물성 간염 진단을 받기도 합니다.

미국 CDC(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 따르면, 매년 3만 명 이상이 아세트아미노펜 과다 복용으로 병원을 찾는다고 합니다

이제는 정말 가볍게 볼 약이 아니라는 것 느껴지시죠?

그런데, 얼마나 먹어야 안전할까요?

이 진통제의 성분은 acetaminophen ~ 하루 복용 최대 복용량은 4000mg, 8정 이하고요. 하루 500mg 2 3번까지 총 3000mg까지만 권장해요.

하지만 하루 6알이 권장량이라고 해서 항상 안전한 건 아니라는 점입니다.

 

e96118a3cabb54ccf68e2586e4d574c7_1753697471_6268.png
 

 

왜냐하면 장기 복용하라고 만들어진 약이 아니고, 다른 약들을 같이 먹거나

술을 먹은 상태에서는 6알을 먹어도 간에 문제가 생길 수 있어요.

 

 

3. 우울감에도 효과가 있을까?

, 그럼 요즘 화제인 이 주제!

'타이레놀 먹으면 기분이 좋아진다?'에 대해 이야기해 볼까요?

미국 켄터키대 연구팀에 따르면, 이 의약품을 복용한 사람들이 사회적 거절을 당했을 때 그 고통을 덜 느끼는 경향을 보였다고 해요.


e96118a3cabb54ccf68e2586e4d574c7_1753697492_3315.png
 

 

 

MRI에서도 anterior cingulate cortex감정적 고통에 관여하는 insula 부위의 활성도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죠.

오하이오 주립 대 메디컬센터 연구팀의 연구에서는 타이레놀을 복용한 그룹의 감정반응이 약 20% 낮게 나타났다고 발표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최근 연구에서는 어려운 결정을 내릴 때 느끼는 불편함도 역시 줄어드는 경향도 보였다고 해요.



e96118a3cabb54ccf68e2586e4d574c7_1753697516_4803.png
 

 

이 연구들은 공통적으로 아세트아미노펜이 단순 진통제 역할을 넘어서, 감정적인 통증에도 작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는데요.

이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일부 매체에서는타이레놀 아픈 마음에도 효과있다.

TIMETylenol Dulls Your Emotional Pain, Too


e96118a3cabb54ccf68e2586e4d574c7_1753697535_8554.png
 

 

 Tylenol Dulls Your Emotional Pain, Too

Popping Tylenol to soothe an ache is second nature, but a new study suggests that the painkiller might ease emotional pain, too

time.com

타이레놀 마음의 아픔도 줄인다이런 기사를 쓰기도 했어요.

NPRTylenol May Help Ease The Pain Of Hurt Feelings


 

 e96118a3cabb54ccf68e2586e4d574c7_1753697553_1218.png 

 

 

 


 Tylenol May Help Ease The Pain Of Hurt Feelings

Acetaminophen, the world's most popular painkiller, doesn't just dull physical aches, it also has subtle psychological effects, researchers say. But blunting emotions isn't always a good thing.

www.npr.org

The GuardianOver-the-counter painkiller could alleviate emotional pain – but should you use it?


 

Over-the-counter painkiller could alleviate emotional pain – but should you use it?

A study has suggested that a readily available pill can ease heartache but there are other ways to address your mental health

www.theguardian.com

우리나라에서도 아픈 마음에 타이레놀이 효과가 있을 수 있다는 기사가 나오고, 연관된 여러 가지 영상도 올라왔었죠.


e96118a3cabb54ccf68e2586e4d574c7_1753697587_4255.png
 

 

4. 진통제의 작용 기전

하지만! 연구 결과라고 해서 다 믿고 따라서는 안됩니다. 연구들의 한계와 제한점들이 있기 때문인데요.

첫 번째

대부분의 연구들이 우울증 환자가 아니라 건강한 사람 성인 혹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했어요

실제 우울증이 있는 분에게 동일한 효과가 나온다는 건 아니죠.

두 번째

또 거의 모든 실험이 1회 혹은 3주 이내의 단기 복용 효과만 관찰했어요. 장기로 복용했을 때 안정성이나 효과는 모르는 거예요.

세 번째

연구 참가수 62, 80, 72명 등.. 대부분 100명 이하의 소규모 인원을 대상으로 진행한 결과예요

실제 효과를 검증하고, 약을 사용하려면 적어도 몇 천명 이상의 환자를 대상으로 장기간 확인해야 해요. 믿을 수 없다는 거죠.

네 번째

결과를 판단하는 내용이 매우 주관적이에요. 감정 반응을 수치로 평가하거나 이미지에 대한 반응을 스스로 보고하는 등.. 

우울감 개선 혹은 감정 반응을 평가하기엔 객관성이 부족하다는 점도 고려해야 합니다.

 

정리해 드리자면

여러 연구를 통해 타이레놀이 아픈 감정반응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은 조심스럽게 제시해 볼 수 있으나…. 

아직까지 제대로 검증된 것은 없다.

즉 우울증 개선 목적이나, 마음의 상처 완화 목적으로 의약품을 먹기에 아직 시기상조이며

이를 통해 감정을 조절하려는 시도는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얻는 이득보다 장기 복용하면 위험할 수 있는 가능성이 더 클 수 있다!라고 생각해요.


또 한 가지 이론적 해석으로는..

여러분, 오래 아프면 우울해 지지 않나요?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면 머리가 무겁고 두통이 생기고, 그럴 때 괜히 더 우울해지는 느낌 다들 경험 있으실 거예요.

이때 진통제를 먹으면 통증이 경감하니까 같이 기분이 약간 좋아지는 건 아닐까요?

타이레놀은요.

뇌 속에서 통증을 느끼는 부위에 작용해 신호를 약화시키는 방식으로 진통 효과를 냅니다

하지만 소염.. 즉 염증을 줄이는 작용이 없고요.

우울증의 핵심 병리기전인 세로토닌이나 도파민 같은 기분 조절 물질에도 직접적인 작용을 하지 않기 때문에 항우울제처럼 기분을 조절해 주지는 않아요.

, 진통 효과는 있지만 감정까지 조절하긴 어렵습니다.

인쇄 스크랩 목록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