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 이걸 - 죽상경화증, 혈관 건강을 위협하는 주요 원인들과 관리법

페이지 정보

서울베스트의료의원 57 0 2025-08-30 17:21:50

본문

혈관이 딱딱해지면, 심장병이나 뇌졸중 위험이 올라간다는 말, 들어보셨죠?


혈관은 우리 몸 곳곳에 산소와 영양을 나르는 길입니다.

그런데 이 길이 막히기 시작하면 죽상경화증 같은 질환이 생기고 

심혈관이나 뇌혈관계 질환 같은 큰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심근경색, 뇌졸중 등 바로 그 중심 원인인 죽상경화증에 대해 이야기해드릴게요.

생각보다 흔하고, 그 결과가 무섭지만…

잘 알고있으면 예방도 가능합니다. 




 


목 차

1. 죽상경화증이 뭔가요?

2. 잘 생기는 사람들의 특징

3. 자각증상과 주요 검사 방법

4. 건강한 상태로 되돌릴 수 있을까?

5. 예방 및 생활관리법



1. 죽상경화증이 뭔가요?

쉽게 말하면, 혈관 안쪽 벽에 기름때가 끼는 병적 상태에요.



나쁜 콜레스테롤로 알려진 LDL 콜레스테롤과 각종 염증세포 들이 벽 속에 뭉쳐서

‘죽종’(atheroma, 플라크)’을 만들고요.

이게 점점 커지면서 혈관을 좁게 만들고, 딱딱하게도 만들죠.



만약 이 죽종이 찢어지면서 터지면, 피떡인 혈전을 만들고..

이 혈전은 각종 혈관을 막을 수 있는데요.

그런데 막힌 곳이 심장을 먹여살리는 관상동맥이라면 … 심근경색이 생기는 거고..

막힌 곳이 뇌혈관이라면 뇌경색이 생기는 거죠.



2. 잘 생기는 사람들의 특징

죽상경화증은 나이가 들수록 점차 흔해지지만, 특정 위험 요인을 가진 분들에게 잘 생깁니다.



대표적인 원인은 고혈압, 당뇨, 흡연, 고지혈증입니다.

이런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혈관 내피가 손상되고, 지방이 침착되면서 병이 진행됩니다.



저도 환자분들과 이야기하다 보면, “혈압약 먹으면서도 담배는 못 끊겠다”는 분들을 자주 만납니다.

사실 그 작은 습관 하나가 혈관 건강에는 큰 의미를 갖습니다.



3. 자각증상과 주요 검사 방법

죽상경화증 자체는 초기에는 거의 증상이 없습니다. 그래서 방치되기 쉽지요. 

문제는 이 병이 조용히 진행되다가, 어느 날 갑자기 심근경색, 뇌졸중처럼 큰 사고를 내는 거에요.



그래서 증상이 없을 때, 건강할 때 기본적으로 죽상경화증 상태와 위험 인자들 평가하는 것이 중요해요. 

결국 작은 신호를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1~2년마다 정기 건강검진으로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여부를 확인하고요.

50대가 넘어가면서 혈관에 찌꺼기가 낀 상태를 알기 위해 경동맥 초음파, 혈관 경화도 검사 등을 권장합니다.



4. 건강한 상태로 되돌릴 수 있을까?


 


이미 생긴 죽종(플라크)을 완전히 없애기는 어려워요.

또 나이가 들수록 노화의 과정에서도 혈관은 딱딱해지고, 죽종이 진행하게 되죠.



그러나 치료와 생활습관 개선으로 죽상경화증이 더 진행되지 않도록 막고, 죽종이 터지지 않게 안정화시킬 수는 있고요.



일부는 좀 작아지게도 만들 수 있습니다.

특히 LDL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약물(스타틴) 치료와 생활습관 개선이 핵심이죠.



여러 연구들에서 약물치료를 통해 LDL 콜레스테롤 레벨을 적극적으로 죽상경화증의 진행을 늦추고,

죽종을 안정화 시켜서 심근경색, 뇌경색 발생도 줄인다고 밝혀냈습니다.

또 일부 죽종 그 자체도 조금 줄어들게 할 수 있다고 보고 했어요.


c2e5fbc5172a88e1b57b109907f56ff0_1756542037_962.png
 


5. 예방 및 생활관리법

되돌리기는 참 어렵다고 했어요. 또 나이가 들수록 죽상경화증이 진행할 위험은 점점 늘어나요.

그렇다면 우리가 죽상경화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지금부터라도 우리가 관리할 수 있는 죽상경화증의 위험인자들을 최대한 예방하고 관리하면서 챙기는 거에요.



어떤 경우에 더 잘 생긴다고했죠?

흡연, 운동부족, 비만, 고지혈증, 당뇨, 고혈압! 

기억나시죠? 관리는 거꾸로 해보세요.


1. 금연

2. 규칙적인 운동

3.식단관리(포

4.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수치 관리

5. 그리고 마지막으로 효과적인 약 복용


이 다섯가지만 잘 지켜도, 상당 부분 예방과 진행 억제가 가능합니다.

죽상경화증은 조용히 다가오지만, 한 번 터지면 생명을 위협해요.

그러나 무섭지만, 알고 대처하면 충분히 관리할 수 있는 병입니다.



따라서 혈관 건강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검사와 생활관리가 중요합니다.



무엇보다 조기 발견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위험 요인이 있으시다면 미루지 마시고 검사를 받아보시기 바라며,

혈관 건강이 걱정되시거나 위험 인자를 갖고 있는 분들은 더욱이 검진을 통해

지금 내 혈관은 어떤 상태일지, 한 번쯤 확인해보시는 건 어떨까요?